본문 바로가기
알기 쉬운 ISO 50001

따라 하는 ISO 50001, (9. 성과평가)-1편

by GGSD_FA 2023. 4. 16.
반응형

'Plan', 'Do', 'Check', 'Act' 중 'Check'에 해당하는 항목입니다.

9.1, 스스로 성과를 평가하고, 9.2 조직 내부에서 심사하고, 9.3 최고경영자에게 보고합니다.

물론 이 모든것을 아우르는 2자 검증이나 3자 검증을 통해 심사원에게 검증받죠.

 

시작하기 전에,

지난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단어장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4. 조직상황)

2023.03.29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5. 리더십)

2023.04.02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1편

2023.04.13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7. 지원)

2023.04.14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8. 운영)

2023.04.14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Plan, Do, Check, Act)

 

 

아래 그림은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든 그림인데 크게 중요하지 않고요, 다만 설명을 도울 뿐입니다.

Check의 주체들

9.1 에너지 모니터링, 측정, 분석과 평가

평가주체는 에너지 경영팀 스스로 입니다.

6. 에너지 기획에서 계획했던 것들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평가합니다. 

 

9.1.1의 a)

1) 항 목표와 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계획의 효과성을 평가합니다.

위의 지난 포스팅 링크 중 단어장에서 효과성평가를 어떻게 하는지 검색해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간단히 "계획한 활동을 모두 했는지", "그래서 의도된 성과를 달성했는지"를 평가하면 됩니다. 

에너지 기획에서 했던 활동들은 거의 다 문서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외에도 EnPI, SEU를 어떻게 운영했는지(에너지 성과 개선 활동이 되겠지요?),

그래서 예상 대비 실제 에너지 사용량은 어떻게 측정되었는지(실적이 될 듯 하네요).

※ 설정했던 '중대한 차이의 기준'을 벗어나는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9.1.1의 b)

'6.6 에너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획'에서 계획한 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는 일이 선행되겠네요.

9.1.1의 c), d)

c)항은 미리 기획이 되어 있어야 하고, d)는 매년 결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갱신심사가 있는 해와 없는 해의 심사일정이 다르다보니 보통 심사 1~2개월 전으로 잡습니다.

그 이후로 해당 건을 위한 내부심사와 경영검토를 받습니다.

 

9.1.2

4항에서 준비했던 "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평가를 하셔야 하고,

기대사항을 고려한 결과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 "그 밖의" 라고 지칭하다보니 덜 중요해 보이는데요, 법규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입니다. 범위가 훨씬 넓어요.

 

 

9.2 내부 심사

내용이야 큰 어려움이 없으니, 중요한 것만 언급하겠습니다.

'주기가 계획되어 있어야 합니다.'

'지적 사항을 발굴 하든 하지 않든, 기록이 남아야 합니다.'

'지적 사항이 발굴되면 Act, 즉 적절한 조치를 이행해야 하고 이 역시 결과로 남아야 합니다.'

 

9항은 2편까지 있을 예정입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