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 'Do', 'Check', 'Act' 중 'Do'에 해당하는 '운영'은 에너지 기획을 통해 계획한 대로 운영을 잘 했는지 점검하는 항목입니다. 운영의 결과는 9항에서 check, 점검 하게 될 것이고, 8항에서는 과정을 점검합니다.
제목만 나열해 보자면,
8.1 운영기획, 관리
8.2 설계
8.3 구매
입니다. 직관적이지요?
하지만 역시, 추가 개념이나 업무등이 있으니 알아보도록 하지요.
지난 포스팅 참고해 주세요.
2023.04.14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Plan, Do, Check, Act)2023.04.13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7. 지원)
2023.04.02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1편
2023.03.29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5. 리더십)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4. 조직상황)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단어장
시작해 볼까요?
8.1 운영기획 및 관리
기준을 읽어보면 말은 어려워 보이지만,
에너지 기획에서 계획한 대로 수행(특히 SEU)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문서화 하란 뜻입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기획에서 올해 '퇴근 후 조명 소등'으로 에너지 개선를 하기로 했다고 할까요.
몇시에 소등할 지, 누가 소등할 지, 소등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스위치를 누르면 되는지, 차단기를 내려야 할 지), 확인은 누가 할 것이고, 그 효과를 비교 할 수 있도록 전력데이터는 어떻게 수집할 것인지 등등을 결정해 두어야겠지요? 이게 문서화 되어있으면 됩니다.
이 외에도 a) ~ d) 까지 추가로 준비해 두어야 하는 것들이 있어요.
8.1의 a)
지난 글 링크 중 단어장을 참고해주세요.
8.1의 b)
지난 글 링크 중 7항을 참고해 주세요.
그리고 협력업체나 공급업체에게도 의사소통 하셔야 합니다.
8.1의 c), d)
문서화된 정보도 보유해야하겠지만,
인터뷰를 통해 '7.3 인지', '7.4 의사소통'도 함께 점검가능한 점 참고해서 준비하셔야 합니다.
8.2 설계, 8.3 구매
비슷한 성능이라면 에너지 성과를 확보하기 좋은 설계를 해야 한다는 뜻이고,
설비, 장비를 구매할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두가지를 설명하고 싶습니다.
첫번째는 생애주기를 고려한 설계, 구매를 해야한다는 뜻인데요,
둘 모두 사용연한, 제품의 수명등을 고려하여 에너지 성과를 계산하는 산식에 '운전수명'이나 '사용연한'이 들어가야 한다는 점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는 에너지 성과를 고려한 설계, 구매를 하더라도 당연히 비용대비 효용이나 기회비용을 고려해서 수행하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가성비, 기회비용은 '해당 설계, 구매에 에너지 성과를 고려하지 않겠다' 라는 결정에 대한 근거에 들어가게 될 겁니다.
설계와 구매도 마찬가지로 협력업체, 공급업체 등 에너지 경영에 관련이 있지만 회사 외부의 조직에 의사소통하셔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알기 쉬운 ISO 500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라 하는 ISO 50001, (9. 성과평가)-2편 (0) | 2023.04.17 |
---|---|
따라 하는 ISO 50001, (9. 성과평가)-1편 (0) | 2023.04.16 |
따라 하는 ISO 50001, (Plan, Do, Check, Act) (0) | 2023.04.14 |
따라 하는 ISO 50001, (7. 지원) (0) | 2023.04.13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5편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