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 쉬운 ISO 50001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2편

by GGSD_FA 2023. 4. 4.
반응형

에너지 기획 2편 시작하겠습니다. 6.1은 1편에서 다루었으니 참고해 주세요.

2023.04.02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1편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1편

6항 에너지 기획은 업무량의 ISO 50001 전체 업무 중, 50% 정도는 가지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5항의 권한을 이용하여 4항을 참고하고 목표와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ggsd.tistory.com

 

6.2 목표, 에너지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6.2.1 목표와 에너지목표를 세울 것

먼저 단어의 뜻부터 먼저 설명드리자면, 목표(Objective)는 달성해야 할 결과입니다. 정성적인 표현이 사용되어도 됩니다. 예를 들어, "전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겠습니다.", "모든 에너지 이용의 효율을 향상시키겠습니다."가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에너지 목표(Energy Target)는 에너지 성능 개선의 정량화 가능한 목표를 말합니다. "5년 간 전력 사용량을 매년 2%씩 줄이겠습니다.", "사용중인 기계장비 중 효율이 95% 이하인 장비를 98%로 운영 가능하도록, 투자를 통해 고효율 장비를 구매하고 운영 시스템을 최적화 하겠습니다."와 같은 정량적인 표현이 사용됩니다.

반응형

 

6.2.2 목표와 에너지 목표의 조건

물론, 조건이 포함됩니다. 주요하게 확인해야 할 조건들을 정리할게요.에너지 목표는 정량화 가능해야 하니까, 당연히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b). 측정이 가능하면 모니터링도 가능합니다(f). 계측기, 계량기 등이 없어서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더라도 괜찮습니다.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면 해당 기준을 만족합니다.

 

SEU(주요 에너지 이용)도 고려해야 하고요(d). SEU는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별도로 설명해두었습니다.

 

의사소통 되어야 합니다(g). 선언적인 이야기가 아니에요. 이후 나오는 7.4항과 관련이 깊습니다. 정례화 되어서 소통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이는 곧 증적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6.3항 에너지 검토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야할 일이 많고 복잡합니다. 하지만 우리같은 사무직이나 엔지니어들에게는 명확한 방향을 보여주기 때문에 걱정하시 않으셔도 됩니다.

 

이상입니다.

 

 

 

 

 

※ SEU가 뭔가요?

먼저 포스팅한 단어장을 확인해 주세요.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단어장

 

따라 하는 ISO 50001, 단어장

일상적으로 쓰는 단어들 이지만, ISO 50001 에서 업무에 접근할 때는 다르게 보아야 하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포털에 검색해서 잘 나오지 않는 단어들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두서

ggsd.tistory.com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성과를 개선해야 하는데요, 이 개선활동을 하기 가장 쉬운것이 SEU입니다.

제가 말하는 '쉽다'라는 표현에 오해가 우려되어 말을 덧붙이자면, 업무에 쉬운 것은 없지요. '비교적 쉽다'는 뜻인데요,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려면 일정 수준, 일정량 이상의 개선활동이 성공해야 합니다. SEU는 선정 조건에서부터 나와있듯 에너지 개선량이 다른 것보다 크기 때문에 '쉽다'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예를 들어 500kW의 정격용량을 가진 장비 하나의 효율을 2%(10kW) 개선하는 것이, 0.05kW 전등 1000개(=50kW)가 있는 어떤 건물의 조명사용량을 20%(10kW) 줄이는 것보다 쉽다는 뜻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