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기 쉬운 ISO 50001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4편

by GGSD_FA 2023. 4. 9.
반응형

에너지 기획 3편까지의 업무를 통해 '무엇을 할 지' 기획했습니다. 이제는 '성과를 어떻게 측정 할 지' 기획해보도록 합시다.

2023.04.02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1편

2023.04.04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2편

2023.04.05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6. 에너지기획)_3편

2023.03.28 - [알기 쉬운 ISO 50001] - 따라 하는 ISO 50001, 단어장

 

 

반응형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6.4 에너지성과지표(EnPI), 6.5 에너지베이스라인(EnB)

시험칠때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서 평가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에너지 경영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도출해서 '100점 만점에 90점' 이런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좋겠지요? 에너지 성과지표와 에너지 베이스라인은 바로 이런 도구를 만들어 두는 것입니다.

 

에너지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TOE라는 말을 아실 겁니다. 

Ton Of oil Equivalant: 에너지 유형들의 발열량을 기준으로, 석유의 발열량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각종 에너지의 단위를 하나의 기준으로 변환하여 비교하기 위한 단위입니다.

여기까지에서 이런 오해가 생길 수 있으니 미리 차단해두어야겠군요.

'사업장에서 사용한 전체 TOE'는 EnPI로 지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에너지 성과는 에너지 이용, 사용량, 효율 중 하나 혹은 2개 이상의 조합을 통해 달성하는 것입니다. TOE만 가지고 하면 어떻게 효율까지는 관리할 수 있다고 쳐도, 에너지 이용에 대한 관리가 빠지게 되죠.

그리고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면 성과 달성이 매우 어렵습니다. 에너지 성과는 우리가 일할 때  자주 경험했듯 '다 잘하는' 것을 강조하지 않고요, 부분적으로 달성하되 점점 넓히는 방향으로 달성해도 되거든요.

에너지 경영의 대상이 A,B,C가 있고 전체 100점 만점에 98점을 달성했다고 하겠습니다. iso 50001 에너지 경영의 의도된 성과가 달성되지 않았죠? 하지만 A,B는 105점으로 초과달성, C는 90점으로 미달되었다고 한다면요? 에너지 조직은 매우 억울할 것 같네요.

 

TOE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여러가지를 말씀드리게 되었는데요.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상하여 EnPI를 지정해보도록 합시다. 4항에서 에너지 경영의 경계를 결정할 때 조직, 물리적인 범위(건물이나 공장 단위), 에너지 이용 등으로 나누셨을 텐데요, 이런 것들을 잘 나누고 세분화 시켜서(WBS라고 부르지요?) 각각의 에너지 EnPI와 EnB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EnPI를 결정하는 방법은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 EnPI와 EnB는 문서화된 정보로 보유 하셔야 하고요.

 

중요한 것이 빠졌는데, 바로 Normalization(정규화) 입니다.

EnPI, EnB 설정 때 예상되는 변수가 있을 겁니다.이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을 뜻하는데요, 예를 들어, EnB를 설정할 때 작년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일부 썼다고 하겠습니다. 공장 하나에 생산라인 2개가 있었는데, 작년에 하나 증설했다고 해 볼까요? 그리고 올해부터 가동하여 생산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여러가지 변수를 찾아낼 수 있겠습니다.

전체 에너지 사용량은 추가된 생산라인 때문에 보정이 필요하죠.

(생산라인1개당 에너지 사용량)x3 + (기저부하) = (전체 에너지 사용량) 

이렇게 다시 산출하셔야 하고, 생산라인 1개당 에너지 사용량을 EnPI, EnB로 설정하고 싶으시다면 

(생산라인1개당 에너지 사용량) = { (전체 에너지 사용량) - (기저부하) } / 3

으로 산출하셔야 할 듯 하네요. 

그리고, 추가된 생산라인이 정상화 되지 않아, 시험가동 결과 타 라인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10% 많다고 한다면?

해당 생산라인의 에너지 사용량은 EnB 설정 시 10% 높게 해야겠지요.

 

이렇듯 기저부하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변수를 적용하고, 보정해서 에너지 성과를 잘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6.4, 6.5항에서 요구하는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에너지 기획의 마지막인 5편, 데이터 수집과 관련한 내용을 설명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