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O50001

ISO50001 기준 설명 [6. 기획(Planning)] – [6.4 에너지 성과지표], [6.5 에너지 베이스라인], [6.6 에너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획]

by GGSD_FA 2023. 3. 7.
반응형

ISO50001 기준 설명 [6. 기획(Planning)] – [6.4 에너지 성과지표], [6.5 에너지 베이스라인], [6.6 에너지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획]

지난 글에서변수 적용정규화”, 그리고 에너지 평가지표와 에너지 베이스라인에 관해 설명했고, 이해를 돕기 위한 두 번째 예시를 알아보겠다.

어떤 사업장에서 여러 개의공장중 하나를 이번 에너지 경영 주기(3) SEU로 선정했다고 가정하자. 지난번에도 언급했듯 SEU안에서의 에너지 이용은 어느 것 하나도 제외할 수 없다고 했었다. 예를 들어 해당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냉수를 공급할 냉동기, 냉동기에 공급할 냉각수를 생산할, 냉각탑, 그리고 그 안의 펌프들까지 모두 전력을 사용하고, 전용 가스보일러를 사용하여 도시가스를 받아 스팀을 생산하고 있으며, 보일러에 공급되는 용수나,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를 위한 전력 등등에너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어느 것 하나 제외할 수 없다. 예외가 있다면 사용량이 너무 미미하여 에너지 성과와 관련이 없는 것이 있다면, 이를고려한 결과적용하기 위해서정량적 근거를 제시하여 에너지 경영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을 수는 있다. “고려”, “적용의 뜻은 여러 번 반복했으니 설명은 생략하겠다. “공장의 목적은생산에 있는 것이므로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변수는생산량”이 될 수 있겠다. 하지만 특이하다고 할 만한 것은, 생산량은 변수라고 하기보다는 성과지표의 하나로 판단하는 게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보통 공장에서 사용하는 유틸리티들은 생산을 위한 것이고, 생산 공정마다 사용하는 유틸리티가 다르기 때문에 수율이나 불량률로 인한 재작업이 유틸리티별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에너지가 많이 낭비되는 공정이 있다면 해당 공정을 최대한 덜 가동하는 것이 에너지 성과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에너지 성과지표로는생산량 대비 사용 에너지양”, “불량률 대비 사용 에너지양”, “가동 일수 대비 사용 에너지양등으로 정할 수 있겠다. “정규화를 위한변수를 뺀 나머지 기저부하로는 공장이 가동하지 않을 때도 사용해야 하는 조명을 위한 전력이나, 창고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같은 것들이 있겠다. “6.3 에너지 검토를 위해 고민할 것이 참 많다.

위와 같이 기준과 활동을 대부분 마련했다. 이제 관리자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100% 위임한다는 것은 성과 창출에 어렵고 주기적인 감시, 측정, 독려 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실행계획을 잘 수립했지만 이런 것이 잘 진행되는지, 결과는 잘 내고 있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고, 에너지 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나 성과지표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data)들을 계획된 주기로 측정하고, 모니터링, 분석해야 할 텐데, ISO50001 기준 역시 해당 활동을 보장함을 에너지 경영 팀에 요구한다. (ISO50001 심사라는 것은 에너지 경영의 활동들이 적절히 실행되고 있거나 해당 활동을 하였음을 문서 증거, 인터뷰를 통해 증명해야 한다. 기준에 있는, 필요 활동들을 모두 문서나 인터뷰를 통해 증명한다고 생각하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에너지 베이스라인을 정규화할 때 사용했던 논리 중 일부 공장 혹은 생산라인, 생산공정의 일정 기간 가동정지가 있었다면 해당 공장의 가동, 가동정지 기간을 모니터링한 결과(문서화 되어있을 것이다), SEU로 결정된 설비나 시스템, 프로세스의 에너지 성과 개선 활동의 실행 결과(운영일지와 같은 기록물들)와 에너지 성과의 개선 결과 등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분석한 결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된다. '누가', '어떤 주기로', '무슨 정보를', '어떻게' 수집할지에 대한 계획이문서화된 정보로 보유되어야 하고 "SEU에 대한 변수", "SEU 및 조직과 관련된 에너지 사용량", "SEU와 관련한 운영기준"(에너지 성과 개선을 위한 실행계획이 수행되고 있는지), "정적 요인", "실행계획에 명시된 데이터" 등은 포함되어야 한다.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궁금하다면, ISO50001 심사원은말로 하는 것을 그 무엇도 믿지 않는다.”라는 가정을 하고 어떤 증거를 보여 줄 것인지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내가 무슨 말을 할 것인지를 일단 글로 적고, 그 단어 하나하나를 증명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실제로 이렇게까지 상세하게 심사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ISO50001 기준이기도 하다.

가장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중요하며, 어렵던 에너지 기획을 알아보았다. 향후 설명할 “Plan”-“Do”-“Check”-“Act” “Plan”이 완료된 것이고 남아있는 "7. 지원", "8. 운영" 항목은 “Do”를 위한 준비, 혹은 원활히 실행될 수 있도록방해하지 않는 것”, “도와주는 것이라고 봐도 될 듯하다.

7에서는적절한”, “적격성 평가라는 말들이 중요하다. ISO50001 기준에 나와 있는 말 한마디 한마디를고려하여 조직에서 많은 것을 결정해 두고, 마련해야 할 증거자료를 결정해야 한다. 해야 할 것을 누락하거나 조직에서 결정한 증거자료를 적절히 마련하지 않았을 경우 부적합 사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마음속에 새기고 기준을 읽으며 준비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