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SO5000117 ISO50001 설명 – 심사 관련 정보와 TMI ISO50001 설명 – 심사 관련 정보와 TMI(Too Much Information: 과도한 정보) 분명히 언급하지만, 해당 블로그의 글을 읽는 사람들은 ISO50001 인증과 관련한 “왕초보” 일 것으로 상정하고 글을 쓰고 있다. 맞추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편안하게 떠오르는 대로 작성하겠다. 심사원은 심사 전 일정 기일까지 해당 범위 내의 ISO50001 문서를 모두 미리 제공해 주기를 요청한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문서가 너무 많다. “보유”된 문서화된 정보들은 보통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모두 검토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유지”된 문서화된 정보들은 어렵지 않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심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발생하는 일인데, 단순히 담당자가 “보유”된 문서화된 정보가 어디에 .. 2023. 3. 11. ISO50001 기준 설명 - 항목별 산출물 ISO50001 설명 - 항목별 산출물 모든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 역시 복습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내 조직의 ISO50001 심사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항목별 산출물을 간단히 나열해보겠다. 최초 인증에 수천만 원을 소비하여 컨설팅받아 심사에 대응했는데, 나 스스로 공부가 되지 않으니 ISO50001에서 요구하는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쉬운 점이 많았다. 이번에 알아보게 될 산출물과 연계해서 준비하면 될 것이다. 각 항목은 이미 설명했으니 간단하게 짚으면서 산출물을 점검하겠다. 4. 조직상황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1) 규명해야 하는 내부와 외부의 이슈 규명 4.2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1) 이해관계자 규명: 내부와 외부 이해관계자를 구분해야 하고, 명백하지 않은 경우 .. 2023. 3. 10. ISO50001 기준 설명 [10. 개선] ISO50001 기준 설명 [10. 개선] 마지막 항목인 “10. 개선” 항목을 알아보기 전, 심사의 종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1자 심사”, “2자 심사”, “3자 심사”로 보통 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A 기업 ISO50001 인증 취득”과 같은 인증 취득을 위한 심사는 “3자 심사”이다. 기업과 관계없는 제삼자의 인증 업체(당연히 심사를 위한 자격을 보유한 업체이다)에서 심사를 보고, 해당 인증업체의 보증으로 인증을 획득한다. 물론, 해당 인증업체도 지속해서 “심사를 위한 자격”에 대한 심사, 진단, 검증받는다. “1자 심사”는 “내부 심사”를 말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1자 심사”라는 말은 “2자 심사”를 위해 억지로 만든 말처럼 느껴진다. “2자 심사”는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A 회사.. 2023. 3. 9.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