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자산형성 사업에 대해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참고해주세요
3가지를 함께 설명드리려고 해요. 청년희망키움통장, 희망키움통장(1,2)은 이름이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자산형성 지원사업입니다.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 중, 희망키움통장1, 희망키움통장2, 그리고 청년희망키움통장이 있습니다. 이들 프로그램은 각각 지원 대상과 혜택이 달라요. 꼼꼼히 확인하고 가입하시는 것, 잊지마세요.

✅ 희망키움통장Ⅰ
- 지원 대상: 일하는 생계·의료 수급 가구 / 일을 하고 계셔야 한다는 뜻이고,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 본인 저축액 기준: 매월 5만 원 또는 10만 원 저축
- 정부 지원: 가구 소득에 비례하여 근로소득장려금 매칭 지원
※ 매칭이란, 저축금에 비례하는 금액을 정부에서 함께 입금해준다는 뜻입니다.
해지: 적금해지와 같은 개념으로 적금 + 정부 매칭금 + 이자 등을 지급해드리는 것을 말해요
- 3년간 근로·사업소득 유지
- 3년간 본인적립금 적립(매월 본인납입금 적금 유지하시라는 말이에요)
- 탈수급
- 지원금의 50% 이상 사용용도가 증빙되어야 합니다.
예상 적립액: 3년 만기 시, 본인 저축액과 정부 지원금을 합쳐 약 1,500만 원 이상 적립 가능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자산형성포털
희망저축계좌 및 청년내일저축계좌 통장사업으로 정부가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
hope.welfareinfo.or.kr
✅ 희망키움통장Ⅱ


지원 대상: 일하는 주거·교육 수급 가구 및 차상위 계층 가구
본인 저축액: 매월 10만 원 저축
정부 지원: 본인 저축액에 대해 매월 근로소득장려금 10만 원 매칭 지원
※ 매칭이란, 저축금에 비례해서 정부가 함께 입금해준다는 의미입니다.
유지 조건:
- 3년간 근로활동 지속
- 교육(총 4회/8시간) 및 사례관리 상담(연 2회, 총 6회) 이수
- 지원금의 50% 이상 사용 용도 증빙
예상 적립액: 3년 만기 시, 본인 저축액과 정부 지원금을 합쳐 약 720만 원 적립 가능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청년희망키움통장

지원 대상:
- 만 15세~39세의 생계급여 수급 가구 청년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자
지원 내용:
- 근로소득공제금: 매월 10만 원
- 근로소득장려금: 본인 소득에 따라 추가 적립
유지 조건:
- 가입 기간 동안 근로·사업소득 지속
- 3년 만기 후 탈수급
예상 적립액:
- 3년간 근로와 저축을 지속할 경우, 약 1,500만 원의 자산 형성 가능
신청 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주의사항
- 각 통장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통장을 선택해야 합니다.
- 가입 기간 동안 근로소득 유지와 교육 및 상담 이수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지원금은 주택 구입·임대, 교육비, 창업 자금 등 자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해야 하며, 사용 내역을 증빙해야 합니다.
이러한 자산 형성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들이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거주지 주민센터나 관련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키움통장 자격, 지원내용, 해지 총정리 (0) | 2025.03.09 |
---|---|
교육급여 신청기간 방법, 지원대상 76만원 놓치지 마세요. (1) | 2025.03.08 |
인천시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사업 – 취업 준비 비용 부담 줄이세요! (1) | 2025.03.08 |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진료비 50만원 신청방법 (0) | 2025.03.08 |
2025년도 수원시 침수방지장치 설치 지원사업 안내 (0) | 2025.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