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마른나무흰개미' 모르면 우리집, 가구 큰일난다. 예방, 조치방법은?

by GGSD_FA 2023. 5. 20.
반응형

며칠전

디시인사이드의 곤충갤러리를

발칵 뒤집은 게시글이 있었죠.

바로 흰개미와 관련한 글이었습니다.

목재킬러,흰개미
목재킬러, 흰개미

바로 마른나무흰개미 라는 건데요,

처음에는 이 마른나무 흰개미는

우리나라에 있을 수 없는 종이라며

믿기 어려워하는 반응이었고,

어떤 사람은 사실 진짜라면 큰일이고,

번식을 막아야 하는 위험한 종이라고 했습니다.

'환경부'에 신고해야 한다는 등

빠른 대응을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경과

실제로 글쓴이는 환경부에 신고했고,

뉴스에 까지 소식이 전파되었죠.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5월 18일에 조사를 했고,

19일인 오늘 결과가 나왔습니다.

http://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1601930&menuId=10525 

 

환경부 보도·설명 -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에서 외래 흰개미류 발견, 긴급 방제 실시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5월 1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주택에서 발견된 외래흰개미류에 대해 5월 18일부터 19일까지 현장조사 및 긴급방제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환경

me.go.kr

 

왜 문제가 될까?

일반적인, 목재에 피해를 주는 흰개미는

목재의 습도를 낮게 유지해주면

자연스레 해결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마른나무흰개미는

습도가 아예 없는 곳에서도 

살아가며 목재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위험한 종이라고 한답니다.

 

우리집! 그럼 어떻게 해요?

피해를 예방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하지만 발견이 되면,

환경부나 국립생태원에 빠르게 제보하고

조치를 받아야 하는데요.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은

화학적방역 밖에 없습니다.

http://me.go.kr/home/web/main.do

 

환경부

 

me.go.kr

https://www.nie.re.kr/

 

국립생태원

환경부 산하, 생태조사·연구, 멸종위기종 복원, 전시·교육기관

www.nie.re.kr

TMI

1. 2021년 강원도의 왕곡마을에서도

같은 피해가 있었습니다.

2. 2015년 청주와 충북에서도

피해가 접수되었습니다.

3. 미국에서는 마른나무흰개미로 인해

1년에 약 1억달러의 피해가 있다고...

4. 목재를 안에서 부터 갉아먹습니다.

그래서 발견하기도 어렵지만 피해는 커요

 

 

 

피해가 없기를 바라면서...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