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요금 할인 제도 대상

by GGSD_FA 2025. 7. 9.
반응형

물가가 오르면서 매달 부담되는 고정비 중 하나가 바로 전기요금이에요.
특히 여름·겨울철 냉난방을 많이 사용하는 계절에는 요금이 확 오르기도 하죠.

하지만 모르고 지나치는 전기요금 할인 제도,
사실 꽤 많고 대상도 다양한데요.
오늘은 2025년 기준 전기요금 할인 대상자를 전부 정리해드릴게요.

 

 

https://xn--ob0bkuxdz53d0ve18ay3t1nat2c90bx9irt6a.kr/

현재 접속 사용자가 많아 대기중이며, 잠시만 기다리시면 자동 접속됩니다.

xn--ob0bkuxdz53d0ve18ay3t1nat2c90bx9irt6a.kr

 

 

KEPCO 전기요금

 

home.kepco.co.kr

 

1.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

가장 기본적인 전기요금 할인 대상이에요.
정부에서 인정하는 기초생활수급자는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월 최대 16,000원 할인
  •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 하절기(7~9월)에는 20,000원까지 확대
  •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적용되는 경우도 많음

단, 반드시 한국전력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수급 자격 갱신 시 재확인도 필요해요.

 

경비지도사 시험과목 합격률

경비지도사, 보안 분야의 관리자급 자격증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단순 경비직이 아닌, 경비업체 운영이나 현장 총괄 역할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력자뿐 아니라 퇴직 후 자격증을 준

ggsd.tistory.com

 

 

성남 창고형 약국 메가팩토리 위치

약국도 이젠 창고형 시대예요.필요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을 한꺼번에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창고형 약국, 요즘 정말 인기 많죠.그중에서도 성남 지역에서 특히 주목받는 곳이 바로 메가

ggsd.tistory.com

 

2. 차상위 계층

기초수급은 아니지만 소득이 낮은 차상위 계층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 월 10% 또는 최대 8,000원 정액 할인
  • 지원 범위는 차상위 본인부담경감, 한부모가정 등 포함

차상위 자격은 주민센터에서 확인 가능하며,
신청은 한전에 직접 해야 적용돼요.

3. 장애인, 국가유공자, 독립유공자

복지 카드가 있는 경우, 전기요금 감면 대상에 포함됩니다.

  • 장애인(1~3급): 월 16,000원까지 할인
  • 국가·독립유공자: 월 16,000원까지 할인
  • 별도 신청 시 등록 주소지 기준으로 적용

한국전력 고객센터나 온라인 홈페이지,
또는 전국 한전 지사를 통해 신청 가능해요.

4. 대가족·다자녀 가구

다자녀 가구라면 별도 소득 기준 없이 전기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 세 자녀 이상인 가구
  • 만 18세 미만 자녀가 세 명 이상일 경우
  • 월 최대 16,000원 할인 가능
  • 주민등록등본 기준 동일세대 등록이 필요해요

이 경우도 한전에 신청해야 하며,
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가 요구될 수 있어요.

5. 사회복지시설

지역아동센터, 노인요양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등
복지법인으로 등록된 기관들도 전기요금 할인이 적용됩니다.

  • 평균 30% 이상 요금 감면
  • 시설 등록 여부와 전기 사용량에 따라 차등 적용

한국전력에 복지시설 등록을 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시설 상태가 유지되어야 감면이 유지돼요.

6. 주택용 복지할인 통합제도

2024년부터 본격 확대된 ‘주택용 복지할인’은
앞서 소개한 다양한 복지대상들을 하나로 통합해
전기요금 할인을 제공하는 제도예요.

주택용 요금제 중 기본요금이 포함된 요금제 가입자라면
복지대상으로 등록되었을 때 자동 감면이 적용돼요.

대상자 등록은 고객센터, 한전 홈페이지, 모바일 앱(스마트한전)에서 가능해요.

7. 기타 에너지 바우처 연계

전기요금 할인과는 별도로
에너지 바우처를 신청한 경우,
전기료 차감 방식으로 연계 지급되기도 해요.

예를 들어 하절기 냉방 지원 바우처(약 30만 원)를 받으면
전기요금에서 자동으로 차감돼서 실질적 부담을 줄여줘요.

단, 에너지 바우처는 복지부와 한국에너지공단 연계이므로
신청 창구가 다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해요.

전기요금 할인 신청 방법은?

  1.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스마트한전 앱
  2. 한국전력 사이버지점 홈페이지
  3. 한전 지사 방문 신청 (등본, 복지카드, 자격증빙 필요)

보통 복지대상자 등록만 되면 자동 감면이지만
대부분은 본인 신청을 통해 등록해야 적용돼요.

갱신이나 자격 종료 시 감면도 함께 종료되니
연도별로 꼭 확인해두는 게 좋아요.

정리하며

전기요금 할인 제도
단순한 ‘복지 혜택’이 아니라 실질적인 가계비 절감 수단이에요.
특히 여름철과 겨울철엔 할인 효과가 크기 때문에
놓치지 않고 등록만 잘 해둬도 1년에 수십만 원 아낄 수 있어요.

혹시 해당 사항이 없더라도
가족 구성원 중 자격 대상이 있다면
세대주 변경 또는 공용 명의 전환 등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한전 고객센터나 스마트한전 앱을 통해
정기적으로 본인의 할인 대상 여부를 체크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