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RWA 코인 종류 및 분류 (Real World Asset)

by GGSD_FA 2025. 5. 15.
반응형

암호화폐 시장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현실 자산(Real World Asset, RWA)을 담는 흐름으로 확장되고 있어요.
부동산, 채권, 미술품, 심지어는 금과 같은 실물 자산까지도 블록체인에 토큰화되어 거래되기 시작했죠.
이런 실물 기반 디지털 자산에 투자하려면 먼저 RWA의 개념과 관련 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WA란 무엇인가?

RWA는 ‘Real World Asset’의 약자로, 현실 세계의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 형태로 만든 걸 말해요.
쉽게 말하면, 현실의 부동산, 국채, 금, 주식 같은 자산을 디지털화해서 블록체인에서 사고팔 수 있게 만드는 것이죠.

이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아요.

  • 접근성 향상: 소액 투자 가능, 글로벌 투자 허용
  • 투명성 증가: 블록체인 기반으로 거래 기록이 명확
  • 유동성 확대: 비유동 자산을 쉽게 거래 가능

RWA 코인 종류 분류

RWA 관련 코인은 크게 다섯 가지 분야로 분류할 수 있어요.

분류 주요 RWA 코인 설명
부동산 Propy, RealT 실제 부동산을 토큰화해 소유권을 디지털로 거래
채권·증권형 토큰 Ondo, Matrixdock, Backed 미국 국채, 채권 등을 담보로 발행한 토큰
금·원자재 Pax Gold(PAXG), Tether Gold(XAUT) 실물 금과 1:1 연동되는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펀드·ETF 기반 BENJI, BlackRock BUIDL 실존 펀드의 지분을 블록체인에서 제공
인프라/프로토콜 Centrifuge, Polymesh, Clearpool RWA 토큰화를 가능하게 만드는 프로토콜 기반 코인

1. 부동산 기반 RWA 코인

  • Propy(PRO): 미국 부동산을 NFT로 만들어 거래. 실제 주택 매매를 블록체인으로 구현
  • RealT: 디트로이트 등 미국 부동산을 토큰화. 임대 수익이 이더리움 기반으로 지급됨

2. 채권 기반 RWA 코인

  • Ondo Finance(ONDO): 미국 국채 기반의 토큰화 서비스를 제공. 다양한 기관 투자자와 협업
  • Backed Finance: 채권 및 주식 등을 온체인으로 증권화. 스위스 기반으로 합법적 구조 갖춤
  • Matrixdock: Asia에서 성장 중인 국채 기반 스테이블코인 ‘STBT’ 발행

3. 금 기반 RWA 코인

  • Pax Gold(PAXG): Paxos에서 발행, 1 PAXG = 1온스의 실물 금으로 보장
  • Tether Gold(XAUT): 테더사가 발행, 실제 금고에 보관된 금과 1:1 대응

4. 펀드 기반 RWA 코인

  • BENJI: Franklin Templeton이 발행한 머니마켓펀드를 블록체인에서 거래
  • BlackRock BUIDL: 2024년 3월 출시. 미국 국채 기반으로 고정 수익 지급

5. 인프라/프로토콜형 코인

  • Centrifuge(CFG): 기업의 인보이스,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담보로 DeFi 대출 제공
  • Polymesh(POLYX): 규제를 준수한 증권형 토큰 발행을 위한 블록체인
  • Clearpool(CPOOL): 기관 투자자를 위한 무담보 대출 프로토콜, RWA 연계 확장 중

요약: RWA 코인 선택 시 고려할 점

  1. 실제 자산과의 연계 구조가 확실한지
  2. 규제 환경을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3. 기관 파트너십이 실체가 있는지
  4. 수익 지급 구조가 투명한지

RWA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규제, 신뢰, 구조의 복잡성이라는 과제도 존재해요.
하지만 분명히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어요.

반응형

댓글